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백일해 증상 예방접종 총정리

by G-info 2024. 7. 30.
반응형

백일해 증상

백일해(pertussis)는 Bordetella pertussis라는 세균에 의해 발생하는 급성 호흡기 감염병입니다. 환자와의 집접적인 접촉등과 같은 비말 감염에 의해 전파되며,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초기 증상: 감기와 유사한 증상으로 재채기, 콧물, 미열, 약한 기침 등이 있습니다.
  • 진행된 증상: 약 1~2주 후 기침이 심해지며, 발작적인 기침이 나타납니다. 기침 후 숨을 들이쉴 때 '흡' 하는 소리가 나기도 합니다. 기침은 수개월 지속될 수 있으며, 밤에 증상이 악화됩니다.
  • 합병증: 폐렴, 발작, 뇌 손상, 사망 등의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1세 미만의 영아에게서 위험합니다.

출처: 질병관리청

 

백일해 치료

백일해는 주로 항생제를 통해 치료합니다. 에리스로마이신, 아지트로마이신, 클래리스로마이신 등이 사용됩니다. 항생제는 백일해균을 박멸하고, 다른 사람에게 전염되는 것을 막는 데 도움을 줍니다.

 

경증의 경우 집에서 항생제를 복용하며 격리해야 하고, 만약 증세가 심각한 경우 특히 영아는 병원에 입원하여 격리 치료를 받는게 좋습니다. 

 

환자가 항생제 치료를 받는 경우, 치료 5일 후까지 격리해야 하며, 항생제 치료를 받지 않는 경우에는 기침이 멈출 때까지 최소 3주 이상 격리해야 합니다.

 

백일해 예방법

백일해를 예방하는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예방접종입니다. 예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백신 접종:

 

  • DTaP 백신: 생후 2개월부터 6개월까지 2개월 간격으로 접종하며, 15~18개월, 4~6세에 추가 접종합니다.
  • Tdap 백신: 청소년기(11~12세)와 성인에게 10년마다 추가 접종이 권장됩니다. 임산부는 매 임신마다 3기(27~36주)에 접종하여 태아에게 항체를 전달합니다.
  • 예방적 항생제: 백일해에 노출된 경우, 특히 임산부, 1세 미만의 유아, 건강 취약자 등에게 예방적 항생제를 투여할 수 있습니다.
  • 기타 예방 조치: 감염된 사람이 기침할 때 입을 가리거나 팔꿈치에 대고 기침하는 등 위생 수칙을 철저히 지키고, 자주 손을 씻는 것이 중요합니다.

 

출처: 질병관리청

 

마무리

백일해는 전염성이 매우 높은 질병으로, 특히 영유아에게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초기 증상은 감기와 유사하지만, 발작적인 기침이 특징입니다. 항생제를 통해 치료할 수 있으며, 예방접종이 가장 효과적인 예방법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