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수족구 증상 전염기간 치료 예방조치 총정리

by G-info 2024. 7. 30.
반응형

수족구 증상
출처: 질병관리처

수족구

수족구병장바이러스에 의한 감염 때문에 생기는 질환으로, 주로 콕사키바이러스와 엔테로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합니다. 손, 발, 그리고 입 주변에 수포성 발진을 일으키고, 주로 여름철 어린이들에게 많이 발생하며 감염성이 매우 높아 어린이집, 유치원 등에서 집단 발병할 수 있습니다.

 

수족구 증상

수족구병의 주요 증상은 다음과 같습니다.

 

  • 발진: 손가락, 발가락, 그리고 입 주변에 붉은 발진이 나타납니다. 이 발진은 종종 물집으로 변하며, 가려움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 환자는 종종 고열을 경험합니다.
  • 인후통: 목이 아프고, 식욕이 없을 수 있습니다.

수족구 전염기간

수족구병의 잠복기는 3~7일이며, 이 기간 동안에도 전염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첫 일주일 동안 전염성이 가장 높아 다른 사람과의 접촉을 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증상이 나타난 후에도 수포가 마르고 딱지가 생기기 전까지 전염성이 지속됩니다.

 

수족구 치료

수족구병의 원인 병원체인 장바이러스에 대한 백신이 아직 없기 때문에 아직 근본적인 치료법은 없고 증상 완화에 중점을 둡니다.

 

수족구병의 증상은 대개 3-5일 내에 호전되지만, 피부나 입 안의 병변이 완전히 회복되려면 7-10일이 걸립니다.

 

입 안 궤양으로 통증과 탈수가 발생할 수 있어 차가운 물이나 음료로 수분을 보충하고 매운 음식이나 신 음식은 피합니다. 탈수가 심할 경우 병원에서 수액 공급이 필요하며, 탈수 증상으로는 소변량 감소, 눈물 없음, 입술 건조 등이 있습니다.

 

열이 나면 미지근한 물로 몸을 닦거나 해열제를 사용하고, 통증 완화를 위해 진통제를 먹일 수 있습니다. 가려움증이 있는 경우 항히스타민제를 복용합니다.

 

만약 심한 탈수로 인해 수액 공급이 필요하거나, 무균성 수막염이나 뇌염 같은 신경계 합병증이 의심될 때 입원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수족구 예방법

수족구병은 공기 중에 떠다니는 바이러스에 의해 전파되므로 완벽하게 예방하는 것은 어렵지만,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전파를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 손 씻기: 정기적으로 손을 깨끗이 씻는 것은 가장 효과적인 예방 방법입니다. 특히 식사 전후, 화장실 사용 후에는 반드시 손을 씻어야 합니다.
  • 개인 위생: 개인의 수건, 칫솔, 식기 등은 따로 사용하고, 사용 후에는 깨끗이 씻어야 합니다.
  • 환기: 집안 공기를 상쾌하게 유지하기 위해 정기적으로 환기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수족구병은 대부분의 경우 자연스럽게 치유되지만, 증상이 심해지거나 오래 지속될 경우에는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반응형